mobile background

괜찮아마을 다큐멘터리 영화

다행(多行)이네요

own way

괜찮아마을이 만들고 싶은 작은 사회,

44일 간 꿈이 현실이 된 이야기

132분, 다큐멘터리, 2019년

괜찮아마을 다큐멘터리 영화

다행(多行)이네요

own way

괜찮아마을이 만들고 싶은 작은 사회,

44일 간 꿈이 현실이 된 이야기

132분, 다큐멘터리, 2019년

누구나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될 수 있는 작은 사회,

인생을 다시 설계하고 싶은 다 큰 청년들을 위한 시간과 공간,

괜찮아마을, 진짜 만들다

현재의 삶이 어딘가 괜찮지 않은 보통 청년들이 ‘괜찮아마을’이라는 실험적인 공동체에

44일 간 머물며 그 마을 안에서 다양한 삶의 방식을 체험하고 배워간다. 


과연 그들은 정말 괜찮아질 수 있을까?

<다행(多行)이네요> 예고편

누구나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될 수 있는 작은 사회,

인생을 다시 설계하고 싶은 다 큰 청년들을 위한 시간과 공간,

괜찮아마을, 진짜 만들다

현재의 삶이 어딘가 괜찮지 않은 보통 청년들이

‘괜찮아마을’이라는 실험적인 공동체에 44일 간 머물며

그 마을 안에서 다양한 삶의 방식을 체험하고 배워간다. 


과연 그들은 정말 괜찮아질 수 있을까?

<다행(多行)이네요> 예고편

가진 것도 시간도 없이, 무모한 괜찮아마을 만들기

젊은 육체를 갈아 넣어서

만들어보자

처음 만난 사람들, 처음 하는 일 투성인 순간들

사람들이 말 잘 들어요?

잊을 수 없는 순간, 사진으로는 담을 수 없는 순간들

진짜로 느낀 걸 담고 싶어

<다행(多行)이네요>는 어떤 마음으로 제작됐나요?

다른 사람 손에 맡길 수 없었던

이상한 사명감으로 시작한 영화

목포, 30명, 6주라는 시간.

그들과 함께했던 일상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이 찾아올 때마다 되뇌었다.


어떻게 네가 나를 살렸던 말 한마디와 온기를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


내가 더 우월하게 빛나기 위함보다,

과시하지 않고 스스로를 위해 내던

빛의 눈부심과 신념을 증명할 수 있을까?


역시나 긴 과정이 필요한 일이라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며 조용히 카메라를 들었다.


감독 김송미


1989년 출생.

프라하에서 55편의 에피소드를 가진 <낯설게 하기>(2016)를

제작 및 연출했다. studio 11月의 대표를 맡고 있다.

<다행(多行)이네요>는 첫 장편 연출작이다.

가진 것도 시간도 없이, 무모한 괜찮아마을 만들기

젊은 육체를 갈아 넣어서 만들어보자

처음 만난 사람들, 처음 하는 일 투성인 순간들

사람들이 말 잘 들어요?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부문 선정

섣불리 결과를 예단하지 않는 가운데

공동체 프로젝트 실행과정에서 공존과 조화를 모색하고

서로 다른 이들의 다름을 알아가는 젊은이들의

아름다운 모습을 침착하게 응시한다.



전주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김영진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선정작 인터뷰

잊을 수 없는 순간, 사진으로는 담을 수 없는 순간들

진짜로 느낀 걸 담고 싶어

괜찮아마을 만든 지 1년이 지난 뒤 이야기

누군가는 떠나고

누군가는 계속 살아가고

괜찮아마을 만든 지 거의 1년이 지나는 무렵,

김송미 감독과 그 이후 이야기를 기록했다.


괜찮아마을 44일(6주) 입주 기간이 종료된 뒤

계속 목포에서 살아온 친구들이

서울로 돌아간 친구에게, 1년 전 자신에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아버지에게

각각영상편지를 쓰는 방식으로 기록했다.

프롤로그 송미

나와 닮은 당신에게 보내는 편지 숙현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준 너에게 보내는 편지 리오

1년 전 나에게 보내는 편지 민성

아빠에게는 조금 서운할 수 있는 편지 동우

에필로그 송미

<다행(多行)이네요>는 어떤 마음으로 제작됐나요?

다른 사람 손에는 맡길 수 없었던

이상한 사명감으로 시작한 영화

목포, 30명, 6주라는 시간.

그들과 함께했던 일상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이 찾아올 때마다 되뇌었다.


어떻게 네가 나를 살렸던 말 한마디와 온기를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


내가 더 우월하게 빛나기 위함보다,

과시하지 않고 스스로를 위해 내던

빛의 눈부심과 신념을 증명할 수 있을까?


역시나 긴 과정이 필요한 일이라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며 조용히 카메라를 들었다.


감독 김송미


1989년 출생. 프라하에서 55편의 에피소드를 가진 <낯설게 하기>(2016)를 제작 및 연출했다. 

studio 11月의 대표를 맡고 있다. <다행(多行)이네요>는 첫 장편 연출작이다.

<다행(多行)이네요>를 만난 사람들

좋았어요, 꼭 보길 추천해요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부문 선정

섣불리 결과를 예단하지 않는 가운데 공동체 프로젝트 실행과정에서

공존과 조화를 모색하고 서로 다른 이들의 다름을 알아가는

젊은이들의 아름다운 모습을 침착하게 응시한다.



전주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김영진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선정작 인터뷰

괜찮아마을 만든 지 1년이 지난 뒤 이야기

누군가는 떠나고 누군가는 계속 살아가고

괜찮아마을 만든 지 거의 1년이 지나는 무렵,

<다행(多行)이네요> 김송미 감독과 그 이후 이야기를 기록했다.


괜찮아마을 44일(6주) 입주 기간이 종료된 뒤 계속 목포에서 살아온 친구들이

서울로 돌아간 친구에게, 1년 전 자신에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아버지에게

각각영상편지를 쓰는 방식으로 기록했다.

프롤로그 송미

나와 닮은 당신에게 보내는 편지 숙현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준 너에게 보내는 편지 리오

1년 전 나에게 보내는 편지 민성

아빠에게는 조금 서운할 수 있는 편지 동우

에필로그 송미

궁금한 게 많을 것 같아서 미리 준비했어요

<다행(多行)이네요>

자주 묻는 질문

조회 66

물론 있습니다. 

김송미 감독과 처음 작업한 영상은 '낯설게 하기' 시리즈 일환으로 제작을 했는데요. 목포 그리고 괜찮아마을에 대한 거의 첫 흔적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조회 74

마을 만드느라 먹고 사느라 여력이 부족했습니다. 괜찮아마을이 궁금한 사람들에게만 소극적으로 작은 모임이나 영화제 등을 통해 상영을 이어왔으나, 최근 늘어나는 요청을 더는 감당할 수 없게 됐습니다. 이제는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완전 공개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조회 67

괜찮아마을 방문 및 협력 문의, 상영 문의, 강연 문의 등 어떤 내용이든 화면 오른쪽 하단 또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문의를 해주세요.


- 문의하기: https://dwvil.channel.io

조회 78
네, 맞습니다. 다만, 본 영화를 상업적인 목적으로는 활용할 수 없습니다.
조회 59

괜찮아마을 1기 입주 기간인 2018년 8월 28일부터 10월 10일까지를 기준으로 촬영이 이뤄졌습니다.

조회 70

상상 속 괜찮아마을, 가능하다는 걸 설명할 수 없었거든요.

괜찮아마을 더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괜찮아마을 거주권을 소개합니다

mobile background

괜찮아마을 더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괜찮아마을 거주권을 소개합니다

괜찮아마을 다큐멘터리 영화

다행(多行)이네요

own way

132분, 다큐멘터리, 2019년

제작투자: 행정안전부, 공장공장

제작: 스튜디오 11월

제작지원: 공장공장


감독: 김송미

프로듀서: 김수훈

촬영: 김수훈, 김송미, 김민준, 정승길

출연: 홍동우, 박명호, 소연진, 한상천 외

음악: 김송미, 김수훈, 92914

편집: 김송미, 김수훈

사운드 믹싱: 김병현

오디오 PD: 이선호

번역: 허정윤, 방수연

타이틀 디자인: 홍희연

괜찮아마을 다큐멘터리 영화

다행(多行)이네요

own way

132분, 다큐멘터리, 2019년

제작투자: 행정안전부, 공장공장

제작: 스튜디오 11월

제작지원: 공장공장


감독: 김송미

프로듀서: 김수훈

촬영: 김수훈, 김송미, 김민준, 정승길

출연: 홍동우, 박명호, 소연진, 한상천 외

음악: 김송미, 김수훈, 92914

편집: 김송미, 김수훈

사운드 믹싱: 김병현

오디오 PD: 이선호

번역: 허정윤, 방수연

타이틀 디자인: 홍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