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엘리베이터 스피치 신청자 접수
안녕하세요. 괜찮아마을에서는 바라는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이든 될 수 있죠. 그 첫 번째 걸음을 뗄 '엘리베이터 스피치' 신청자를 접수 받을 예정이에요. 무엇이든 하고 싶다면, 동료를 모으고 싶다면 엘리베이터 스피치에 참여해 주세요 :-)
1. 진행 방법: 엘리베이터 스피치는 1인 2분 간 진행돼요. 스피치 내용에는 프로젝트의 내용, 정량적 목표와 구하는 동료에 대한 내용(N명, 필요한 동료의 자질 등)이 필수로 들어가야 해요. 주제는 제한하지 않아요. 주제를 특정하지 않고 방향만 설명하는 스피치를 해도 괜찮아요. 엘리베이터 스피치 진행시간에는 따로 질문을 받지 않아요. 그 이후에 진행되는 네트워크 파티 시간이 있으니까요!
2. 발표 형식: 파워포인트 자료(PPT), 구두 등 형식에 관계 없이 발표를 할 수 있습니다.
3. 신청 기간: 9일(일) 24시까지 본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참석 의사를 전달해 주세요.
예) 저 할래요!
4. 발표자료 제출 기간: 10일(월) 13시까지 daniel@emptypublic.com으로 발표 자료를 전달(선택)해 주세요.
Q. 엘리베이터 스피치는 누가 하나요?
A. 작은 성공에서는 입주민 각각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데 이때 리더가 되어 프로젝트를 이끌고 가고 싶으신 분이 하게 됩니다. 자신은 멤버로서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은 이야기만 들어도 괜찮습니다. 스피치를 하신 분은 리더이자 프로젝트 총 기획자가 되는 것입니다.
Q. 프로젝트 참여 의사는 어떻게 표현하게 되나요?
A. 엘리베이터 스피치 이후 네트워크 파티를 하면서 관심이 가는 곳에 자신의 의사를 밝힐 수 있어요.
Q. 팀원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반드시 하나의 프로젝트에 메인 팀원으로는 활동하셔야 합니다. 서브 팀원으로만 활동하는 건 안 됩니다. 메인 팀원의 수는 최소 1명에서 최대 3명까지 가능합니다. 자신이 혼자 메인 팀원이 되고 서브 팀원을 많이 두는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도 있습니다.
예)전시 프로젝트 : 전시 기획하는 메인 팀원은 1명, 그러나 전시에 들어갈 콘텐츠 참여하는 서브 팀원 10명이 존재 함
예)영상 프로젝트 : 어떤 영상주제, 장소섭외. 상영회 등 관련 기획하고 진행하는 메인 팀원 2명 존재, 영상 만드는 것과 출연에만 참여한 서브 팀원 4명 존재
예)낭독회 프로젝트 : 극 대본 작성과 기획 운영하는 메인 팀원 2명 존재, 낭독회 참여하는 서브 팀원 7명 존재
예)노래 만들기 프로젝트 : 노래 작곡하는 메인 팀원 1명 존재, 작사와 노래를 부르는 서브 팀원 3명 존재
Q. 네트워크 파티 때 무엇을 하게 되나요?
A. 함께 일해보고 싶었던 팀원에게 의사를 전달하기도 하고, 반대로 재밌어 보이는 프로젝트에 참여해보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하는 시간입니다. 함께 만들었던 명함이 의사를 전달하는 도구입니다. 네트워크 파티 때는 참여 의사를 밝히는 시간입니다. 팀원 확정은 팀 데뷔 무대 때 발표하는 것으로 대체됩니다.
- 괜찮아마을 2기 '작은 성공 안내서'가 곧 게시될 예정입니다.
[2기] 엘리베이터 스피치 신청자 접수
안녕하세요. 괜찮아마을에서는 바라는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이든 될 수 있죠. 그 첫 번째 걸음을 뗄 '엘리베이터 스피치' 신청자를 접수 받을 예정이에요. 무엇이든 하고 싶다면, 동료를 모으고 싶다면 엘리베이터 스피치에 참여해 주세요 :-)
1. 진행 방법: 엘리베이터 스피치는 1인 2분 간 진행돼요. 스피치 내용에는 프로젝트의 내용, 정량적 목표와 구하는 동료에 대한 내용(N명, 필요한 동료의 자질 등)이 필수로 들어가야 해요. 주제는 제한하지 않아요. 주제를 특정하지 않고 방향만 설명하는 스피치를 해도 괜찮아요. 엘리베이터 스피치 진행시간에는 따로 질문을 받지 않아요. 그 이후에 진행되는 네트워크 파티 시간이 있으니까요!
2. 발표 형식: 파워포인트 자료(PPT), 구두 등 형식에 관계 없이 발표를 할 수 있습니다.
3. 신청 기간: 9일(일) 24시까지 본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참석 의사를 전달해 주세요.
예) 저 할래요!
4. 발표자료 제출 기간: 10일(월) 13시까지 daniel@emptypublic.com으로 발표 자료를 전달(선택)해 주세요.
Q. 엘리베이터 스피치는 누가 하나요?
A. 작은 성공에서는 입주민 각각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데 이때 리더가 되어 프로젝트를 이끌고 가고 싶으신 분이 하게 됩니다. 자신은 멤버로서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은 이야기만 들어도 괜찮습니다. 스피치를 하신 분은 리더이자 프로젝트 총 기획자가 되는 것입니다.
Q. 프로젝트 참여 의사는 어떻게 표현하게 되나요?
A. 엘리베이터 스피치 이후 네트워크 파티를 하면서 관심이 가는 곳에 자신의 의사를 밝힐 수 있어요.
Q. 팀원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반드시 하나의 프로젝트에 메인 팀원으로는 활동하셔야 합니다. 서브 팀원으로만 활동하는 건 안 됩니다. 메인 팀원의 수는 최소 1명에서 최대 3명까지 가능합니다. 자신이 혼자 메인 팀원이 되고 서브 팀원을 많이 두는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도 있습니다.
예)전시 프로젝트 : 전시 기획하는 메인 팀원은 1명, 그러나 전시에 들어갈 콘텐츠 참여하는 서브 팀원 10명이 존재 함
예)영상 프로젝트 : 어떤 영상주제, 장소섭외. 상영회 등 관련 기획하고 진행하는 메인 팀원 2명 존재, 영상 만드는 것과 출연에만 참여한 서브 팀원 4명 존재
예)낭독회 프로젝트 : 극 대본 작성과 기획 운영하는 메인 팀원 2명 존재, 낭독회 참여하는 서브 팀원 7명 존재
예)노래 만들기 프로젝트 : 노래 작곡하는 메인 팀원 1명 존재, 작사와 노래를 부르는 서브 팀원 3명 존재
Q. 네트워크 파티 때 무엇을 하게 되나요?
A. 함께 일해보고 싶었던 팀원에게 의사를 전달하기도 하고, 반대로 재밌어 보이는 프로젝트에 참여해보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하는 시간입니다. 함께 만들었던 명함이 의사를 전달하는 도구입니다. 네트워크 파티 때는 참여 의사를 밝히는 시간입니다. 팀원 확정은 팀 데뷔 무대 때 발표하는 것으로 대체됩니다.
- 괜찮아마을 2기 '작은 성공 안내서'가 곧 게시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