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청년 #사회적경제 #마을 만들기 #문화기획 #로컬크리에이터 #혁신 창업
괜찮아마을 방문 관람 누적 130회 이상 진행
전국 지역 혁신가 방문 누적 2,000명 이상
괜찮아마을 지역경제 활성화 규모 약 30억 원
지역 연계 파트너 50 업체 이상
공공, 민간 자금 유치 약 30억 원
유휴 공간, 빈집 활성화 사례 10건
812일 동안 36억 8천만원 써서
개고생한 괜찮아마을이 당신에게
#도시재생 #청년 #사회적경제 #마을 만들기
#문화기획 #로컬크리에이터 #혁신 창업
전국 언론과 외신까지 많은 관심을
갖는 혁신 공동체 프로그램
국내 언론 보도 114건
방송 프로그램 방영 20건
BBC, Times, NHK 등 외신 보도 5건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장편 경쟁작 선정
쉼, 상상, 작은성공 프로그램 개발 누적 41개
누적교육 1000시간 이상
누적 지역 입주형 프로그램 참여자 수 132명
프로그램 이후 외지인 정주율 37%
목포 외 지역 활성과 컨설팅 및 운영 16개 지역
약 50회 시행
신뢰와 협력의 비즈니스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청년 체인지메이커 대표 사례
2018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2019 대한민국 사회혁신 체인지메이커 선정
2021 소셜벤처 경연대회 전남도지사상, TS벤처상 수상
2022 문화체육관광형 예비사회적기업 선정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 기획 약 200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 창업 사례 6건
고유한 지역 가치를 발굴하고
비즈니스 기회로 만드는 로컬크리에이터
로컬 비즈니스 누적 매출 약 13억 원
로컬 커뮤니티 비즈니스 가게 6개
고유한 지역 가치를 담은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30건 이상
지역의 특별한 매력을 담은 로컬 투어 기획 약 270건
누적 참여자 약 5800명
전국 20개 로컬 크리에이터들과 특별한
‘지방에서 왔습니다' 네트워크 구축
모두의 관심으로 괜찮아마을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신문오마이뉴스 - 지방으로 간 청년들, 불가능에 도전한 청년마을 성공기
언론사: 오마이뉴스
날짜: 2022년 6월 1일
본문 보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39094
목포 괜찮아마을이 없었다면 청년마을도 없었다. 2018년 행정안전부(사회혁신추진단)는 인구가 줄면서 오랫동안 버려지다시피 한 건물들의 쓰임새를 찾아 되살리자는 취지로 '시민 주도 공간활성화' 사업을 벌였다. 지자체나 민간이 가진 빈 건물을 되살릴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면 5~7억 원을 지원해주는 사업이었다. 여기에 '공장공장'이라는 회사를 운영하던 박명호와 홍동우라는 패기 넘치는 두 청년이 1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뽑혔다.
언론사: 오마이뉴스
날짜: 2022년 6월 1일
본문 보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39094
목포 괜찮아마을이 없었다면 청년마을도 없었다. 2018년 행정안전부(사회혁신추진단)는 인구가 줄면서 오랫동안 버려지다시피 한 건물들의 쓰임새를 찾아 되살리자는 취지로 '시민 주도 공간활성화' 사업을 벌였다. 지자체나 민간이 가진 빈 건물을 되살릴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면 5~7억 원을 지원해주는 사업이었다. 여기에 '공장공장'이라는 회사를 운영하던 박명호와 홍동우라는 패기 넘치는 두 청년이 1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뽑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