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모든 것을 해버린 사람들


목포에 아무 연고 없는 청년 40명이 만든

공동체가 만드는 지역 활성화


괜찮아마을 방문 관람 누적 130회 이상 진행

전국 지역 혁신가 방문 누적 2,000명 이상

괜찮아마을 지역경제 활성화 규모 약 30억 원

지역 연계 파트너 50 업체 이상

공공, 민간 자금 유치 약 30억 원

유휴 공간, 빈집 활성화 사례 10건

812일 동안 36억 8천만원 써서 

개고생한 괜찮아마을이 당신에게



#도시재생 #청년 #사회적경제 #마을 만들기

#문화기획 #로컬크리에이터 #혁신 창업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모든 것을 해버린 사람들

전국 언론과 외신까지 많은 관심을

갖는 혁신 공동체 프로그램

국내 언론 보도 114건

방송 프로그램 방영 20건

BBC, Times, NHK 등 외신 보도 5건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장편 경쟁작 선정

쉼, 상상, 작은성공 프로그램 개발 누적 41개

누적교육 1000시간 이상

누적 지역 입주형 프로그램 참여자 수 132명

프로그램 이후 외지인 정주율 37%

목포 외 지역 활성과 컨설팅 및 운영 16개 지역

약 50회 시행



신뢰와 협력의 비즈니스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청년 체인지메이커 대표 사례

2018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2019 대한민국 사회혁신 체인지메이커 선정

2021 소셜벤처 경연대회 전남도지사상, TS벤처상 수상

2022 문화체육관광형 예비사회적기업 선정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 기획 약 200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 창업 사례 6건



고유한 지역 가치를 발굴하고

비즈니스 기회로 만드는 로컬크리에이터

로컬 비즈니스 누적 매출 약 13억 원

로컬 커뮤니티 비즈니스 가게 6

고유한 지역 가치를 담은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30건 이상

지역의 특별한 매력을 담은 로컬 투어 기획 약 270건

누적 참여자 약 5800명

전국 20개 로컬 크리에이터들과 특별한

‘지방에서 왔습니다' 네트워크 구축




고맙습니다


모두의 관심으로 괜찮아마을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소셜행정안전부 - 괜찮아마을 프로젝트

언론사 또는 채널명: 행정안전부, 반가운 프로젝트

날짜: 2018년 

본문 보기:  http://happychange.kr/project/괜찮아마을-프로젝트/  


괜찮아마을 프로젝트

원도심(전남 목포)의 빈 상가건물에 청년 활동공간을 조성하고 지역 정착을 지원합니다.

수행주체
(주)공장공장


수행기간
2018년


사업분류
시민참여 공간활성화


추진상황
진행중


관련지역
전라남도 목포시


키워드
공간공간활성화공유문화확산시민참여주민참여지역소멸대응청년문제청년실업

사업배경

○ 목포 원도심은 인구 고령화, 청년 인구 감소에 따라 빈집 증가로 지역 자원 활용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 또한 N포 세대로 살아가는 청년들은 도시 속에서 쫓기듯 치열한 경쟁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 원도심(전남 목포)의 빈 상가건물에 청년들의 활동공간을 조성하고, 취·창업과 지방생활에 관심있는 대도시 청년에게 지역내 일자리 찾기와 생활에 필요한 교육 등을 제공해 청년문제와 지역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합니다.

사업내용

 ○ 목포에서 삶을 설계해 보고자 하는 전국의 괜찮고 싶은 청년에게 이주 초기에 필요한 거주공간, 지역체험, 창업교육 및 지역주민·이주청년 유대관계 맺기 및 지역내 일자리 찾기를 지원합니다.

  • 청년 모집 ⇨ 셰어하우스 「괜찮은 집」 ⇨  청년 대안교육 「괜찮은 학교」 ⇨ 실패연습 공간 「괜찮은 공장」 ⇨  청년 취·창업 → 지역정착 → 발전

괜찮은 집(셰어하우스)
지역의 빈 집은 청년에게 집이 됩니다. 그 곳에서 쉬어가며, 좀 괜찮아졌으면 좋겠어요. ‘괜찮은 집’은 잃어버린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마음 따뜻한 셰어하우스>입니다.


 ○ 괜찮은 학교(청년 대안교육)
지역의 빈 집은 청년에게 학교가 됩니다. 청년은 쉼과 실패를 배우고, 지역살이에 도움을 주기도 하죠. ‘괜찮은 학교’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을 제안하는, 다 큰 청년들을 위한 <인생 재시작 대안학교>입니다.

○ 괜찮은 공장(공유사무실)
지역의 빈 집은 청년에게 일터가 될 수 있어요. 청년은 그곳에서 실패를 연습하고, 함께 도전할거에요. <공유 사무실>과 <공유 가게>로 이루어진 ‘괜찮은 공장’은 청년들이 프로그램 수료 후에도, 새로운 인생을 실험할 수 있는 <실패 연습소>가 됩니다.

사업 기대효과

 ○ 지역의 빈 집을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여 청년 지역 정착지원을 통해 청년문제(일자리, 단절·고립)와 지역문제(원도심, 인구)를 함께 해결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보기의 링크를 따라가 봐주세요.

공장공장은 원문 기사의 저작권을 존중합니다.

0 0